행담도 사건과 카멜리펀트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는 모든 관리체제는 두 가지 기본적인 특징을 갖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그것은 칸막이 방과 채널인데 이것을 두 종류의 간부 즉 전문가와 관리자가 장악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문직 간부는 칸막이 방안에서 정보 통제를 통해 권력을 장악하고 있고 관리자는 채널을 통과하는 정보흐름을 통제함으로써 권력을 장악한다.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바로 이 관료적인 권력체제다.

더구나 각 칸막이 속에 들어 있는 사람들은 조직의 발전보다는 자기 자신의 권력을 확장시키기 위해서 다루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지금 우리의 주변 환경은 신속하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관료적 조직풍토를 가지고는 신속한 의사결정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조직이 환경 적응력을 잃게 된다.

많은 조직들이 새로운 업무를 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부서를 설치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이 제안은 기존의 칸막이 안에 있는 사람들의 예산을 축내게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대부분 반대에 부딪치고 결국은 무슨 위원회나 ‘태스크 포스’라는 애매한 조직을 만들기로 타협하게 된다.
앨빈 토플러는 이런 조직을 ‘카멜리펀트’라고 부르고 있다. 카멜 즉 낙타와 엘리펀트 코끼리가 결합한 식으로 엉망이라는 것이다. 코끼리의 느린 동작과 낙타의 저능한 IQ가 결합된 이 조직은 또 하나의 식충일 뿐이라는 것이다.

현 정권 들어서 정부 조직 내에 온갖 위원회가 생겼다. 정부위원회만 350여개에 달하고 대통령 직속 국정과제 위원회만 12개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 중에 동북아시대 위원회가 행담도 개발 사업에 부적절하게 개입하면서 큰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민간기업과 양해 각서를 체결하고 이 기업의 채권발행에 추천서를 써주는가 하면 군 잠수함 통신소 사업에 개입하여 건설 중단을 요청한 사실까지 밝혀지고 있다. 명백한 월권행위다.

청와대와 여당은 개인이 돈을 착복한 비리는 아니고 일을 잘 해보려다 생긴 사건으로 해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인식으로는 카멜리펀트 병을 고치기 어렵다. 이번 행담도 사건을 계기로 낙타머리에 코끼리 몸통을 붙인 것 같은 각종위원회는 대수술을 하는 편이 옳다.

저작권자 © 뉴스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