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친화경영을 확산시키자

가족친화경영을 확산시키자
최근 우리 사회의 이혼율이 급증하면서 비상이 걸렸다. 가정이 흔들리면 사회도 흔들린다. 기업이 흔들리는 것도 당연한 이치다. 요즘 일류기업들은 직원들의 삶의 질과 가족친화경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기업들이 직원의 ‘삶의 질 향상’에 관심을 보이는 것은 무엇보다 가족친화 경영이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한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지난해 실시한 조사자료(가족친화 경영 현황과 개선 과제)를 보면 조사대상 기업의 61.2%는 ‘가족친화 경영이 기업 성과를 올리는데 도움이 된다’고 대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반대로 ‘성과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응답 비중은 38.8%에 머물렀다. 기업 성과에 도움이 되는 이유로는 ‘종업원 만족도가 높아져 생산성이 올리간다’(60.8%)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이직률이 낮아져 안정적 인력운용 가능’(26.1%), ‘ 기업이미지 개선으로 판매 증가’(5.6%)의 순으로 나타났다.
독일 헤르티에 재단의 경우 실증조사를 토대로 “가족친화 기업의 생산성은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30%가량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힌 바 있다.
가족친화 경영이 더 관심을 끄는 것은 ‘저출산쪾고령화’라는 국가적인 문제를 치유하는데도 결정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는 저출산에 따른 기업 인력 부족 현상을 해소하는데 상당히 기여할 수 있는데, ‘일과 가정의 조화’경영은 바로 우수 여성인력의 사회진출을 돕는 ‘촉매제’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삼성경제연구소 관계자는 “저출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여성의 근로환경과 관련된 사회쪾직장적 요인”이라고 지적하고 “여성이 가정과 직장을 양립할 수 있도록 경제 및 사회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고 밝혔다.
신세대 종업원 중심으로 가치관이 다양해지며, 개인적이고 가정적인 삶의 만족을 희구하는 경향도 친가족경영 확산의 주요 배경을 이루고 있다.
가족친화 경영은 직원만족도와 생산성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으나 아직 많은 기업들은 이를 ‘남의 일’로 간주하고 있는 실정이다. 당장 먹고살기가 급한데 무슨 친가족 경영이냐라는 비판적 시각도 없지 않다.
이 같은 기업 인식은 정부조사 결과에서도 입증된다. 노도오부와 여성가족부의 지난해 조사를 보면 보육서비스 의무화 대상 사업장의 이 서비스 제공 비율은 37%로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탄력 근무제 등 가족친화적 근무제도 운영 기업도 10% 수준으로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기업들은 여성의 보육지원시설 등은 정부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기업의 경영사정이 좋은 기업은 자체적인 해결이 가능하나 대다수의 기업은 자력으로 이를 할 수 없다는 것이다.
대한상공회의소 조사 결과를 보면 가족친화 경영실천과 관련해 ‘정부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고 대답한 기업은 10개사 중 1개사에 그쳤고, 9곳은 정부 지원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대답했다. 기업들이 희망하는 지원은 ‘가정친화 프로그램 도입에 따른 경비지원’(46%)이 주류를 이뤘고, 그 다음은 ‘근로시간 유연화를 위한 법과 제도 개선’(16.4%), ‘금융쪾조세상 인센티브 제공’(16.2%) 등의 순이다.
이제 기업에서 가족친화경영은 필수적 경영과제이며 주요한 사회적 공헌이다.
가정이 건강해야 기업도 건강해진다.
저작권자 © 뉴스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